본문 바로가기

지식&정보

부성의 방어 작용

 

봄철 새들의 모습을 보면 사람들은 부부 금실이 좋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그 내면은 이렇다. 대부분의 새들은 암수가 짝이 되어서 새끼들을 키우지만 부부 금실이 좋다고 생각하게 하는 암수 관계는 수컷의 이기적이고 보호 본능적인 부성 때문에 일어난다. 수컷이 태어나는 새끼들의 아버지가 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암컷이 다른 수컷과 교미를 하지 못하게 지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항상 암컷의 곁을 떠나지 않고 지키는 것인데, 이는 자신의 부성을 보호하기 위해 짝을 지키는 것이지 결코 부부 금실이 좋아서 그러는 것은 아니다.

 

동물계 전체를 통틀어서 이렇게 짝을 지키는 행위는 정자 경쟁으로 나타나는 행동의 적응 전략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빈번한 교미로 다른 수컷보다 훨씬 많은 정자를 제공하여 자신의 자손을 얻을 확률을 최대한 높게 만드는 방법이다. 이 두 가지 전략은 암컷이 새끼를 가질 수 있는 동안, 다시 말해서 수컷의 정자가 임신을 시킬 수 있는 기간에만 효과적이다. 여기서 임신을 시킬 수 있는 기간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암컷은 수컷의 정자를 며칠에서부터 몇 주일까지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전략 모두가 암컷이 새끼를 가질 수 있는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수컷이 두 가지 전략 중 어떤 것을 쓰는가 하는 것은 여기에 드는 노력과 그 효과의 상대적인 비교에 따라 결정된다. 만일 암컷을 쫓아다니는 것이 먹이를 구하는 데 방해가 된다면 빈번한 교미 방법을 택할 것이고, 반대로 빈번하게 교미를 하는 것이 천적에게 노출되어 잡아먹힐 위험이 따른다면 암컷을 쫓아다니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어적 부성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경우는 새와 곤충이다. 이를 처음으로 관찰하여 기록으로 남긴 학자는 셀로우스로서, 그는 1900년대 초에 한 쌍의 검은지빠귀가 집을 짓는 모습을 관찰하여 "암컷이 집을 지을 나뭇가지나 마른풀을 모으는 동안 수컷은 분주하게 암컷을 따라다니면서 암컷이 총총걸음을 하면 수컷도 쫓아하고 여기저기를 뒤지고 다니면 수컷도 따라 한다"라고 기록하였다. 당시 훌륭한 사냥꾼으로 더 잘 알려진 형이 있었지만, 셀로우스는 조류학자답게 야외 관찰에 능숙하였고 성선택에 관한 다윈의 생각을 시험하려는 목적의식이 뚜렷하였다. 그는 당시 그 분야의 학자들보다는 무척 앞서 있었지만 단지 수컷이 암컷을 쫓아다니는 현상을 자신의 부성을 방어하는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하였다.

 

그 후로 75년이나 지나서야 비로소 조류의 짝 지키기에 관한 최초의 수치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암컷이 알을 낳기 며칠 전부터 시작해서 약 7~8일 동안 모래제비 수컷이 암컷을 졸졸 따라다니며 잠시도 자기 짝 곁을 떠나려 하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다. 암컷이 잠시라도 둥지를 떠나면 수컷도 따라가는 것이었다. 수컷이 이렇게 암컷을 졸졸 따라다니는 시기가 대략 암컷이 새끼를 가질 수 있는 기간과 일치하는 사실이 다른 수컷으로부터 자기 짝을 보호한다는 이론과 맞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다른 새들에게서도 많이 관찰하였는데, 일부 학자는 이렇게 암수가 함께 있는 것이 꼭 짝을 지키는 행동이라고만 생각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 수컷이 가까이에 있어서 쉽게 교미도 할 수 있고 천적으로부터 암컷을 보호할 수 도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은 실험적으로 수컷을 암컷에게서 멀리 떨어지게 하고 과연 다른 수컷과의 교미가 자주 일어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웨스트니트가 검은지빠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것이 정확하게 바로 이것이었다. 검은지빠귀 수컷들은 여러 암컷들과 짝을 짓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암컷이 알을 가질 수 있는 기간은 수컷이 항상 암컷 주위를 맴돈다. 대부분의 조류의 경우에 주로 수컷이 암컷의 주위를 맴돌지만 특히 검은지빠귀의 경우는 그 정도가 심한데 이는 수컷이 여러 암컷과 짝을 짓기 때문일 것이다. 웨스트니트가 이런 수컷을 잡아서 한 시간 가량 자기 영역에서 암컷을 지키지 못하게 한 결과 암컷이 주변의 수컷과 짝지 기를 해서 알을 낳은 경우가 100배나 증가하였다. 암컷이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는 드물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영역 주변을 호시탐탐 돌아다니는 수컷이 원인이 된 것이다. 실제로 잡았던 수컷이 짝을 지었던 둥지에서 태어난 새끼들 중 다른 수컷에 의해 태어난 새끼가 다른 둥지의 경우보다 많다는 것을 DNA 지문법으로 밝혀냈다. 결국 이 실험으로 수컷이 암컷 주위를 맴도는 것이 자기의 부성을 방어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웨스트니트는 수컷들이 먹이를 찾기 위해 가끔 어쩔 수 없이 암컷 곁을 떠나는 것을 알았는데 이것도 실험적으로 사실임을 밝혔다. 다시 말해 영역을 떠나지 않도록 먹이를 제공해 준 영역의 수컷의 경우 암컷의 곁을 떠나지 않고 잘 지켜서 더 많은 새끼의 아버지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수컷이 얼마나 오래 암컷 주위를 지키는가 하는것은 암컷이 얼마 동안 알을 가질 수 있는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조류에서는 보통 난자의 수정이 24시간 간격으로 일어나는데 수컷이 암컷을 지키는 시기는 처음 알을 낳기 전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난자가 수정되기까지의 며칠간이다. 다른 동물에서는 난자가 수정되는 시간이 짧으므로 암컷을 지키는 기간이 짧은 것이다. 똥파리의 경우는 수컷이 암컷에게 정자를 주입한 후 잠시 동안만 암컷을 지키면 되는 것이다. 보통 똥파리는 약 40분 동안 교미를 하는데 교미를 마친 후 바로 암컷은 알을 낳기 시작한다. 이때에도 수컷은 암컷의 등에 20분 정도 더 달라붙어 잇는데 이 동안에 암컷은 가진 알을 다 낳는다. 수컷이 이렇게 하는 것은 다른 수컷이 암컷과 교미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성공하면 그전에 암컷이 다른 수컷과 교미를 했어도 가장 마지막에 교미를 한 수컷의 정자가 우선적으로 수정된다는 최종 수컷 정자 우위 법칙에 의해 자신의 자손을 퍼트릴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 법칙이 유효한 이상 수컷들은 서로 다른 수컷을 떨쳐내려고 할 것이고 실제 그런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반대로 제일 처음 교미하는 수컷의 정자가 수정되는 동물에서는 암컷을 지키는 일이 교미하기 전에 이루어진다. 교미 전에 암컷 지키기는 담수 감각류의 일종인 옆새우에서 일어난다. 수컷은 변형된 앞다리를 이용해서 암컷을 움켜쥐고 며칠 동안 붙잡고 있다가 암컷이 딱딱한 껍질을 벗으면 즉시 탈피하면 곧바로 교미를 한다. 이 옆새우의 경우 정자를 보관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로 수정이 일어나고 따라서 다른 정자와의 경쟁도 있을 수 가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 짝을 지킨다는 것은 짝지을 상대를 구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수컷들은 자신이 교미할 준비가 되기 대략 9일 전부터 암컷을 붙잡는다. 하등동물들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짝 지키기 행동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놀라운 것이다. 옆새우의 경우 암컷이 더 많이 있으면 짝을 지키는 데 시간을 덜 소비하고 반대로 암컷의 수가 부족하면 훨씬 오래전부터 암컷을 붙잡는다. 그래서 딱딱한 껍질을 벗기 오래전부터 암컷을 붙잡고 있다가 탈피를 하자마자 교미를 해서 자신의 정자를 수정시키고는 암컷을 놓아준 후에는 암컷을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교미 전 짝 자키기 현상은 포유류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교미 후 수정이 금방 일어나기는 해도 정자 경쟁이 없을 정도로 수정이 빨리 일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포유류이 경우 '암컷 등지기 행동'이라고 불리는 짝 지키기는 암컷의 임신 가능 시기와 일치해서 몇 시간에서부터 며칠 동안 나타나는 행동이다. 더욱이 암컷의 임신은 교미에 의해 배란이 촉진되고 그래야 수정이 되기 때문에 수컷들은 임신이 가능한 암컷을 찾기에 혈안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한 번 암컷을 만나면 자신의 우위를 지키기 위해 계속 쫓아다니는 것이다. 이렇게 쫓아다니다가 암컷이 임신할 때가 되면 교미를 하고는 더 이상 암컷에 대하여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영장류의 경우 암컷 지키기 행동이 며칠간 계속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암컷이 언제 임신 가능한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자를 저장하는 이유  (0) 2020.04.29
닭의 짝짓기  (0) 2020.04.26
유전적 표지와 부성 측정  (0) 2020.04.20
정자 경쟁에 대한 다윈의 생각  (0) 2020.04.19
정자 경쟁 이론 연구  (0) 2020.04.19